본문 바로가기

Web Program

(8)
ESP8266 Wifi 아두이노 보드 맥(MAC) OS 개발환경 아두이노 ESP 8266 wifi 보드입니다. 알리익스프레스등에서 저가 칩셋으로 아주 저렴하게 판매되고 있는 보드죠. 국내 대형 몰에서도 2,200원에 판매하기도 하더군요. 먼저 칩셋을 확인해야 합니다. 너무 작아서 잘 보이지도 않네요. CH340G 이라고 확인되네요. 제가 찾은 맥용 드라이버 입니다. 드라이버를 설치 한 후 아두이노 에디터에서 ESP 8266 보드를 설치해야 합니다. 먼저 보드매니져를 실행시키고 "8266"을 검색해 보면 아래처럼 esp8266 이라고 검색이 될껄니다. 그럼 설치버튼을 눌러 설치해 주세요. 설치가 끝났으면 이제 보드와 컴퓨터를 연결하고 포트만 지정해 주면 되겠습니다. 위의 포트번호는 각자의 하드웨어에 따라 다르게 표시 될 것입니다. 이제 제대로 동작하나 예제소스로 확인해..
VI copy 블럭카피 v 를 누른후 방향키로 블럭을 잡은후 y 붙여넣기 p
mysql datetime 시간대별 통계내기 SELECT date FROM counter_table ORDER BY YEAR(date) DESC, MONTH(date) DESC GROUP BY DATE_FORMAT(date, "%m-%y")
ie 이미지툴바(imagetoolbar) 안보이기 IE 에서 이미지에 마우스 오버시 이미지에 이미지 저장등의 툴바가 나오는데.... 이 툴을 표시를 mata 태그를 이용하여 제어 할 수 있다
vi 명령어 vi 명령어 일람 vi 시작 명령어 작업설명 vi filename vi +18 filename vi +/"문자열" fn vi -r filename view filename 파일 열기, 작성18행으로 파일 열기"문자열"의 처음발생 단어부터 열기손상된 파일 회복읽기 전용으로 파일 열기 vi 커서 이동 명령어 작업설명 h(←) j(↓) k(↑) l(→) 왼쪽으로 커서 이동아래로 커서 이동위로 커서 이동오른쪽으로 커서 이동 w e b Enter Back space Space Bar ^ $ H M L 숫자G 오른쪽 한 단어의 끝 부분으로 커서 이동오른쪽 한 단어의 앞 부분으로 커서 이동왼쪽 한 단어의 앞 부분으로 커서 이동한 행 아래로 커서 이동한 문자 왼쪽으로 커서 이동한 문자 오른쪽으로 커서 이동행의 맨 왼쪽..
mysql 명령어 [localhost에서 이용 할 수 있는 사용자 추가] mysql> GRANT ALL PRIVILEGES on dbname.* to 'ID'@localhost identified by 'PASSWORD'; [외부에서 이용 할 수 있는 사용자 추가] mysql> GRANT ALL PRIVILEGES on dbname.* to 'ID'@'%' identified by 'PASSWORD'; FLUSH PRIVILEGES;
자바스크립트 디버그 할때 유용한 Tip Blackbird 자바스크립트로 복잡한 구현을 할 일이 있어서 설계를 MVC를 바탕에 두고 설계를 .... 페이지에 bind 하고 실행해줄 Control.js 와 Ajax 통신과 중요계산등을 하는 Model.js 그리고 페이지에 Dom을 만들고 추가 해줄 view.js로 나누어서 작업을 시작했다..... 그러는 동안 다른 일이 있어서 다른 일좀 처리하고 한 일주일쯤 지났나??? 다시 작업을 하려니 컨트롤에서 모델로 넘어가 뷰로 나오다 보니 어느 함수를 타고 나오는지 기억이 안나서 일일이 alert을 찍어 봤더니 ... 실행 한번 하면 alert 창이 나오고.. 닫기를 누르면 나오고 누르면 나오고.... ㅡ,.ㅡ Ajax data 나 버그는 화이어버그를 이용하면 편리한데.... 어떨때는 IE에서는 되고 FF에서는 안돼고....
jQuery select box control (multiple) 선택박스(다중선택) Selector 나이를 먹어서 그런가... 메모리가 안된다..... ㅡ.ㅡ 스크립트 코딩하다 웹써핑하기 바쁘다는....ㅡ,.ㅡ 그래서 이번 기회에 정리 한번 해본다.. one two three four 선택값 알기 $("#box").val(); result => 2,four $("#box > option:selected").val() result => 2 다중 선택인 multiple에서 .val()은 선택된 결과값을 모두 보여주는 반면 option:selected 를 했을경우에는 value 값이 있건 없건 제일 첫번째 선택된 값만 보여준다. 대부분의 블로그에서 아래방법을 포스팅하였던데.... 그냥 val()을 쓰는게 짧고 더 옳은 방법인듯하다. 선택하기 $("#box > option[value=2]").attr("sel..